티스토리 뷰

웃는 어린이

 

1. 자녀의 자존감이 낮은 이유

자녀의 자존감이 낮은 이유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천성적인 기질이나 성향일 수도 있고, 여러 가지 경험, 환경, 상황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먼저, 선천적 원인으로 인해 자존감이 낮은 경우가 있습니다. 즉, 타고나길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감정, 시선, 평가에 민감하여 나보다는 다른 사람을 먼저 의식하기 때문에 자존감이 낮은 경우입니다. 다른 사람을 위하는 마음 때문에 자기가 불편해도 참는 아이들이 그런 경우이고, 사회적 민감도가 높아 착한 아이 콤플렉스를 가진 아이입니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로 인해 자존감이 낮은 경우입니다.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심으로 칭찬하거나 남들과 비교하는 부모의 태도는 아이를 결과에 집착하여 실패를 두려워하게 만들고,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어려운 과제는 쉽게 포기하고 자신감을 상실하게 만듭니다. 셋째, 출생 순서나 형제, 가정환경과 같은 주변 환경도 영향을 미칩니다. 흔히 첫째 아이일 경우 동생에게 양보하고 배려하는 분위기 속에서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숨기고 눈치 보게 되는 상황 속에서 자존감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또, 부모의 이혼과 같은 가족환경 변화로 인해 자존감이 떨어지기도 합니다. 넷째, 아이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부정적인 경험으로 인해 자존감이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친구들과의 관계가 좋지 않거나, 학업적인 역량이 부족한 경우도 있습니다. 다섯째, 사회적인 요인도 자존감을 낮출 수 있습니다. 현재의 사회에서는 외모나 성과에 대한 평가가 강조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딸의 외모나 성과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이 자존감 하락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딸의 자존감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딸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대인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자녀의 자존감을 키우는 방안

첫째, 자녀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자녀가 성취하거나 잘한 일에 대해서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고 듬뿍해주는 것입니다. 이는 자녀가 자신의 능력을 스스로 인식하고 자신감을 갖게 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둘째, 자율성과 책임감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부모가 자녀가 해결해야 할 문제를 모두 해결해 주어 자녀가 스스로 문제를 고민하고 해결하여 결정한 기회를 박탈하면 아이는 자율성과 책임감을 배우지 못합니다. 따라서 자녀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책임을 배우도록 하는 것이 자존감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절대로 자녀가 할 수 있는 일을 부모가 대신해 주면 안 됩니다. 셋째, 규칙과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부모는 자녀에게 안정한 환경과 규칙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자녀가 느끼기에 안정적인 환경으로 인지하고 안정감을 느낀다면 자존감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측되지 않고 불안한 환경은 자녀에게 불안을 가져오고 이는 자존감에 도움이 되질 않습니다. 부모는 가족과 협의하여 규칙을 정하고 자녀가 이를 지킬 수 있도록 하는 등 권위주의적 가정이 아니라 민주적 가정이 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넷째, 대화하고 지지해 주어야 합니다. 부모는 자녀와 일상 속에서 많은 대화를 하고, 자녀의 생각과 감정에 대해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자녀에게 긍정적이고 지지, 격려의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자녀의 열정과 노력을 인정해 주어야 합니다. 다섯 번째, 부모는 스스로 자존감을 높여야 합니다. 부모는 자녀에게 거울이 되는 존재입니다. 즉, 부모의 자존감은 자녀가 배워야 할 자존감의 교과서인 셈입니다. 

 

3. 자존감 향상에 방해되는 요인

자녀의 자존감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다음과 같은 부모의 태도입니다. 첫째, 비판과 비난하는 태도입니다. 자녀를 지속적으로 비난, 비판하면 자존감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비난의 말 대신 자녀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긍정적인 피드백이 중요합니다. 둘째, 비교와 경쟁의 태도입니다. 부모가 제일 잘못하는 것이 주변 아이들과 자녀를 비교하는 행동입니다. 이는 자존감을 떨어뜨리는 것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자아를 형성하게 할 수 있으므로, 비교 대신 자녀가 노력하고 성취한 것들에 대해 칭찬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셋째, 무시하고 냉대하는 태도입니다. 자녀가 말하면 어린아이가 하는 말이라고 무시를 하거나 차가운 말로 아이가 말을 냉대한다면, 자녀는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자신은 무시당해도 되는 아이라고 생각하며 자라납니다. 이러한 태도가 아니라 아이의 말에 귀 기울여 경청하고 따뜻하게 공감해 주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넷째, 지나치게 제한하고 통제하는 태도입니다. 부모들은 자녀가 안전하지 않을까 봐 못 미더워서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자녀의 자율성을 제한하고 통제하려 듭니다. 하지만, 이러한 태도는 아이가 스스로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만듭니다. 지나친 통제 대신 적절한 지도와 지원을 제공하여 스스로 문제 해결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좋습니다. 다섯째, 폭력과 억압입니다. 가정폭력에 노출되어 있는 아이들은 건강한 자존감과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기 힘듭니다. 신체적 폭력과 언어폭력, 정서적 무관심을 경험한 아이들은 늘 위축되어 있고,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 자녀를 부모로서 안전하게 보호하고, 한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존중해야 합니다.

반응형